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디앤디파마텍(347850) – 재무 & 투자 참고 분석 개인정리

by korsbj 2025. 9. 22.
반응형

 

 

1. 최근 3년간 재무지표 요약

연도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ROE 부채비율
2022 약 6억 원 규모 (매출 매우 낮음) 약 -687억 원 약 -1,370억 원 약 -192.25% 약 405.65%
2023 약 187억 원 약 -135억 원 약 +34억 원 약 +14.03% 약 43.44%
2024 약 114억 원 약 -250억 원 약 -295억 원 약 -49.03% 약 40.15%

2. 분기별 실적 추세 및 향후 성장률 예상

 

 

  • 2025년 2분기: 매출 약 9억 원, 영업손실 -81억 원, 순손실 -100억 원 수준. :contentReference[oaicite:17]{index=17}
  • 매출 변동성이 크고, 손실 폭이 일정 기간 지속됨.
  • 2025~2027년 예상: 매출 -30% → +20-50% → +50-100% 성장 가능성, 영업이익 개선되나 흑자 전환은 매우 보수적 시나리오 하에 가능성이 있음.

3. 배당 정책 분석

  • 최근 5년간 배당금 지급 기록 없음. 배당수익률 0%. :contentReference[oaicite:18]{index=18}
  • 배당성향: 적자 기업이므로 정의 가능치 않음, 현재 배당 정책보다는 기술개발 및 임상 진전 우선 전략.

4. 산업 트렌드 및 경쟁사 비교

  • 경구용 GLP-1 / 비만 치료제 시장 빠르게 성장 중. 복용 편의성, 안전성, 비용 경쟁력 중요함. :contentReference[oaicite:19]{index=19}
  • 기술 이전 / 글로벌 라이선스 계약 확보가 밸류에이션에 결정적 요소.
  • 경쟁사들은 이미 임상 후반 단계에 있거나 상업화 준비 중인 곳 많음. 디앤디파마텍은 상대적으로 임상/개발 초기 단계가 많아 리스크 존재.

5. 글로벌 시장 점유율 & 해외 매출 영향

  • 공식 해외 매출 비중 데이터는 제한적임.
  • ODM / 해외 거래처 확대 사례 (리봄화장품 등) 있음. 해외 26개국 거래처 보유. :contentReference[oaicite:20]{index=20}
  • 글로벌 기술수출 또는 라이선스 계약이 이루어질 경우 주가에 긍정적 영향 클 것으로 보임.

6. 외국인 & 기관 수급 및 주가 상관관계

  • 최근 외국인 투자자의 매도세가 눈에 띄며, 주가 하락 압력으로 작용함. :contentReference[oaicite:21]{index=21}
  • 기관 투자자의 순매수 유입도 관측됨. 안정적 지지 가능 요소. :contentReference[oaicite:22]{index=22}
  • 주가 상관관계: 외국인 매도가 계속되면 단기조정 가능성 높고, 기관 매수 및 임상 / 기술이전 소식 등 모멘텀이 있는 경우 반등 여지 있음.
유의: 현재 디앤디파마텍은 적자 상태가 지속되고 있으며, 주가가 기대감 중심으로 과하게 선반영된 측면이 있음. 기술/임상 결과의 실질적 발표가 중요함.
본 글은 특정 종목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 및 참고용 정보일 뿐, 투자 권유나 자문 목적이 아닙니다. 투자에 대한 모든 의사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.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