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1. 최근 3년간 재무지표 요약
항목 | 2022 | 2023 | 2024 | 업계 평균 혹은 비교 |
---|---|---|---|---|
매출액 | ≈1,432억 원 | ≈1,027억 원 | ≈891억 원 | 업계 평균 대비 감소 추세 |
영업이익 | ≈18억 원 | ≈11억 원 | ≈1억 원 | 낮은 영업이익률, 변동성 큼 |
순이익 | ≈33억 원 | ≈7억 원 | ≈22억 원 | 순이익률 업계 평균보다 낮음 |
ROE | ≈3.7% | ≈0.8% | ≈2.44% | 업종 평균 3~5% 수준 |
부채비율 | ≈51.76% | ≈28.88% | ≈22.40% | 최근 안정화 추세 |
2. 분기별 추세 및 향후 예상 (2025~2027년)
2025년 상반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약 30.3% 감소, 영업이익‧순이익은 적자전환 함. 분기 실적의 변동성이 크고, 수익성이 불안정함. 앞으로의 성장률 예상은 매출 기준으로 2025년 –10~–20% 감소 가능성, 이후 2026년 +5~15%, 2027년 +10~25% 회복 가능성 있음. 영업이익률 및 순이익률 회복은 비용절감 및 신성장 산업 쪽 수요 확보 여부에 달려 있음.
3. 배당 정책
- 배당 지급은 과거 2015~2018년 있었으나, 2019년 이후 배당 중단됨.
- 최근 5년간 배당성향 및 배당수익률은 사실상 “0” 수준.
- 배당 재개에 대한 공시나 계획 발표는 아직 없음.
4. 산업 트렌드 & 경쟁사 비교
- 자동화 및 산업용 로봇 수요 증가 (반도체, 디스플레이, 2차전지 중심).
- 기술 고도화: 정밀도, 제어, 다축 로봇, 협업 로봇 중심.
- 경쟁사(PIE, 한라IMS 등)과 기술 및 비용 구조 비교 시 로보스타의 개선 여지가 큼.
5. 글로벌/해외매출 비중 및 주가 영향
공시된 해외매출 비중은 명확히 확인되지 않지만, 산업 특성 상 글로벌 고객 확보 시 매출 회복 및 수익성 개선 가능성이 높음. 주가도 그러한 기대감에 민감하게 반응함.
6. 외국인/기관 수급 및 주가 상관관계
최근 자료에 외국인 또는 기관의 순매수/순매도 추세는 정확한 수치 공개되지 않음. 다만 주가 변동성이 높아, 시장 기대감과 테마 중심의 수요(자동화/로봇 관련) 요인이 주가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임.
7. 강점과 약점 요약
- 강점: 기술 기반 산업용 로봇 사업, 낮은 부채비율 등 재무 건전성 중 일부 개선 요인 있음.
- 약점: 매출 감소와 수익성 불안, 배당 중단, 실적 대비 주가 기대치 과도 가능성 있음.
종합적으로, 로보스타는 미래 자동화/로봇 산업의 수요 증가라는 큰 흐름 속에 기회가 있으나, 현재 실적 회복 여부와 기술/비용 경쟁력 확보가 중요함.
본 글은 특정 종목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 및 참고용 정보일 뿐, 투자 권유나 자문 목적이 아닙니다. 투자에 대한 모든 의사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