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STX엔진(현 STX중공업) 종합 분석 리포트

by korsbj 2025. 8. 18.
반응형

 

 

1. 최근 3년간 재무지표 분석

연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ROE 부채비율
2022 약 1조 1천억 원 270억 원 200억 원대 6% 내외 180%
2023 약 1조 4천억 원 420억 원 350억 원대 8~9% 170%
2024 약 1조 6천억 원 (추정) 500억 원 이상 400억 원 이상 10% 수준 160% 이하

특징: 매출과 이익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부채비율은 점진적으로 안정화되고 있습니다. 업계 평균(ROE 7~8%, 부채비율 120~150%)과 비교 시 성장성은 우수하나 재무 안정성은 다소 열세입니다.

2. 분기별 실적 추세 및 성장률 전망 (2025~2027)

 

- 2023년 분기별 매출은 3천억~4천억 원대 안정 유지, 영업이익은 분기당 100억 원 이상.
- 2024년 상반기에는 글로벌 선박 엔진 및 방산 수요 확대에 힘입어 실적이 상승.

2025~2027 성장률 전망:
· 연평균 매출 성장률(CAGR): 8~10% 예상
· 영업이익률: 현재 3~4% → 2027년 5% 이상 개선 가능
· 주요 요인: 친환경 연료 엔진 수요, 조선업 회복, 방산 수출 증가

3. 배당 정책 (최근 5년)

- 배당 성향: 20~25% 수준
- 배당 수익률: 1~2% (낮은 편)
- 2020~2021년은 코로나19 영향으로 축소, 2022년부터 배당 재개
→ 안정적 배당주라기보다는 성장 재투자형 기업

4. 산업 트렌드 및 전망 (3년)

- IMO 환경 규제 강화에 따라 LNG·수소·암모니아 연료 기반 엔진 개발 가속
- 글로벌 조선업 회복세, 특히 LNG선과 군수 특수선박 수요 증가
- 국내 방산 수출 확대 (폴란드 등)

경쟁사 비교:
- 현대두산인프라코어: 글로벌 점유율 높음, 재무 안정성 우수
- 한화엔진: 방산 매출 비중 확대
- STX엔진: 중형 엔진 특화, 기술력은 우수하나 기업 규모와 재무구조는 상대적 약점

5. 글로벌 시장 점유율 및 해외 매출 비중

- 글로벌 점유율: 선박용 중형 디젤 엔진 약 5~7%
- 해외 매출 비중: 30~40% 수준
- 주가 영향: 원화 약세 및 글로벌 선박 발주 증가 시 긍정적

6. 신제품/신사업 성장 동력

- 신제품: LNG·수소 친환경 엔진 개발
- 신사업: 방산(군수 엔진) 수출 확대 기대
- 강점: 중형 엔진 및 방산 분야 틈새시장 경쟁력 보유

7. 최근 한 달간 외국인·기관 수급

- 외국인: 순매수세 유지 → 성장성 기대 반영
- 기관: 단기 차익 매도 위주, 매집세는 약함
- 주가 영향: 외국인 매수세 유입 시 상승, 기관 매도 시 단기 조정 가능성

📌 종합 결론

강점: 매출 성장세, 친환경 엔진 및 방산 엔진 모멘텀 보유
약점: 부채비율 상대적 높음, 배당 매력 낮음
전망: 2025~2027년 CAGR 8~10% 성장 예상
투자 포인트: 친환경 선박·방산 수출 확대 → 중장기 성장주로 긍정적

 

 

본 글은 특정 종목에 대한 개인적인 의견 및 참고용 정보일 뿐,
투자 권유나 자문 목적이 아닙니다.
투자에 대한 모든 의사결정과 책임은 투자자 본인에게 있습니다.

 

반응형